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근하기
이제 본격적으로 데이터베이스 공부를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했으며, 설치 환경은 추후에 업로드하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하기
일단 오라클 데이터베이스가 깔려있다고 가정했을 때,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은 3 가지가 존재합니다. 이를 클라이언트라고 하는데, 이런 클라이언트에는 써드파티(외부업체)에서 제공하는 더욱 편리한 프로그램도 존재하기 때문에 추후에 입맛에 맞게 사용하면 됩니다. 일단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클라이언트를 알아보겠습니다.
1. cmd창에서 접근하기
명령프롬프트 창이라고 하는 cmd창을 탐색기를 통해 실행해봅시다. 그리고 sqlplus라는 명령어를 입력하여 실행해봅시다.
실행하면, 다음 창에서 볼 수 있듯 사용자명을 입력받으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우리는 scott이라는 사용자를 통해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입력하고 우리가 설정했던 tiger라는 비밀번호를 입력합시다.
이 부분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할 때 다루는 부분이기 때문에 설치 관련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처럼 안전하게 접속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부터 scott이라는 사용자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sqlplus창에서 접근하기
두 번째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탐색기에서 sqlplus를 검색해봅시다. 오라클 데이터베이스가 제대로 설치되었다면 프로그램을 하나 보실 수 있습니다.
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실행될 것입니다.
일단 명령 프롬프트 창과 굉장히 유사합니다. 사실상 cmd 창에서 접근하는 방법과 동일하지만 sqlplus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는 차이만 존재하며, 여기서 사용자 로그인 하시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근 가능합니다.
3. sql developer 사용하기
두 가지 방법 외에도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GUI 인터페이스가 존재합니다. 이를 sql developer라고 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 접근하기
위에서 설명했던 세 가지 방법 중에서 우리는 cmd 창에서 sqlplus를 통해서 접근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해당 사용자에 존재하는 테이블이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아직 sql 문에 대해서 제대로 다루진 않았지만 " select * from tab; "을 입력해봅시다.
sql문을 실행하면 현재 사용자가 Bonus, Dept, Emp 테이블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다음 포스팅에서 sql문을 활용하여 이 테이블들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가져오는 연습을 해보겠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