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에서의 데이터베이스 사용

실무에서의 데이터베이스 사용

실무에 처음 들어갔을 때 먼저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살펴보아야 한다. 이제까지 우리가 공부할 때는 이를 위해서 select문을 사용하여 테이블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이로 인해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select * from 테이블명 (X) - 절대 사용 금지

실무에서는 실제로 저장된 데이터가 엄청나기 때문에 모든 걸 출력하면, 100만 단위의 데이터가 나올 수도 있다. 따라서 절대로 실무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자.

그럼 실무에서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어떤 절차로 파악하는지 알아보겠다.

  • ip / port / sid
  • 아이디 / 암호
  • ERD - 설계도
  • select tname from tab; 을 통해서 설계도와 테이블명 확인
  • desc 테이블 명으로 구조파악
  • count 갯수 파악
  • top-n 데이터 내용 확인

먼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근하기 위해 이를 저장한 컴퓨터의 ip / port / sid를 통해 원격 연결을 설정하고, 여기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 계정과 비밀번호를 부여 받는다.

그리고 ERD를 통해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살피고, 실제로 테이블 이름을 검색하여 해당 ERD와 관련된 테이블들을 확인한다. 그리고 desc문을 통해 테이블의 각각의 구조를 파악한다.

이후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저장되었는지 count문을 활용하여 알아보고, 몇 가지 데이터만을 추출하기 위해서 top - n문을 활용하여 내용을 확인한다. 아 작업을 습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제 hr 사용자로 접속하여 실제 상황처럼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살펴보도록 해보자.

먼저 hr 계정으로 접속하자. 이 때 비밀번호는 hr로 설정해두었다.

그 다음 ERD는 우리가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테이블 명을 확인해보자. 다음처럼 7개의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뷰에 대해서는 검색하지 않도록 tabtype을 테이블로 설정했다.

다음은 employees 테이블의 구성을 살펴보겠다. 이를 위해서 desc문으로 어떤 칼럼들로 구성되었는지 살펴본다.

이제 해당 테이블에서 행 데이터가 몇개나 있는지 검색해보자.

마지막으로 ton - n 문을 사용하여 실제로 어떤 데이터가 들어가 있는지 검색해보겠다.

지금까지 연습한 이 과정이 실제 실무에서 우리가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이를 꼭 명심하고 습관화하도록 하자.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데이터베이스 PL/SQL - 배열과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PL/SQL 변수선언

데이터베이스 PL/SQL 제어문 - 반복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