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 날짜함수
함수 - 날짜함수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날짜 타입은 세기, 년도, 월, 일, 시간, 분, 초를 모두 저장한다.
하지만 화면에 출력되는 기본값은 RR/MM/DD로 표현된다. 이는 YY/MI/SS로 써도 상관없다.
그리고 이 설정값은 바꿔줄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종료하면 다시 기본 설정으로 돌아간다.
- sysdate
먼저 현재 날짜 데이터를 가져오도록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sysdate함수를 사용한다.
그리고 이 출력 기본 설정을 한번 바꿔보자. 이를 위해서는 아직 배우진 않았지만 alter문을 사용한다.
기본 설정을 바꾸고, 이를 sysdate로 출력해보면 기본 설정이 바뀜을 확인할 수 있다.
날짜 데이터 연산의 기본 설정은 일을 중심으로 한다.
그리고 이 때 날짜가 일 단위로 끊어지는 게 아니기 때문에 시간, 분, 초 단위는 소수점 단위로 표현되고 있다.
이번엔 고용된 날짜로부터 지금까지 몇 주가 흘렀는지를 출력하는 select문을 하나 만들어보자.
날짜 함수를 살펴보자.
- months_between() : 두 시간 사이 몇 달이 차이나는가를 반환한다.
- add_months(): 어떤 시점에서 원하는 만큼의 개월수를 더하는 함수이다.
- next_day(): 가장 가까운 해당 요일이 언제인지를 반환한다.
해당 날짜(현재 날짜)에 다음 수요일이 언제인지를 출력하고 있다.
- last_day()
이는 입력된 날짜가 있는 달의 마지막 날을 구하는 함수이다.
이를 통해 윤년인지 아닌지를 파악할 수도 있다.
만약에 28일이 아닌 29일이라면 윤년에 해당하는 연도일 것이다.
- round()
입력된 날짜를 기준 날짜에 대하여 반올림
- trunc()
입력된 날짜를 기준 날짜에 대하여 반올림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