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 제약조건 확인하기
제약조건 확인
우리가 테이블 생성 시 만들었던 제약 조건을 확인해보도록 하자. 이를 위해서 cmd 창에서 다음과 같은 select문을 입력한다. 제약조건에 대한 내용은 user_constraints라는 딕셔너리 뷰에서 제공한다.
일단 제약 조건에 대한 내용이 출력되기는 하지만, 굉장히 보기가 불편하다. 이를 좀 더 편하게 보도록 하겠다.
또 다른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인 sql developer를 활용해보도록 하겠다.
먼저 sql developer에서 동일한 사용자로 접속한다. 그리고 질의 작성기에 똑같이 select문을 작성하자. 그리고 위의 초록색 재생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질의문을 실행한다. 그 결과를 살펴보자.
우리가 cmd 창에서 봤던 것보다 훨씬 보기 편한 테이블의 형태로 출력된다. constraint_type은 해당 제약 조건이 unique인지 primary key인지 등을 식별해주고, 제약 조건의 이름, 그리고 해당 제약조건이 적용되는 테이블까지 출력되고 있다.
이 외에도 원하는 테이블을 들어가서 제약조건 탭으로 들어가면 제약조건에 대한 내용이 동일하게 출력된다.
칼럼명까지 확인하기
제약 조건이 걸려 있는 테이블뿐만 아니라 칼럼에 대해서까지 확인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user_cons_columns라는 딕셔너리 뷰를 참조하여 column_name을 검색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