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베이스 - create
DDL
이번엔 DDL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객체인 테이블의 생성, 변경, 이름 바꾸기 등의 테이블 관리에 대해 살펴보겠다.
그에 앞서 자료형을 먼저 알아보자.
자료형
문자열 데이터의 경우 자료형 종류가 상당히 많다. 우리는 주로 varchar2 또는 char를 사용할 것이다.
이 때, long 타입의 경우 몇가지 주의 사항이 있다.
테이블은 사용자들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 중에 언제든지 사용해도 되지만, 저장 용량이 얼마나 될지에 대해서 예측하는 것은 중요하다. 게다가 테이블 구조는 데이터베이스가 온라인 상태인 경우에도 변경 가능하다.
테이블 생성하기
테이블은 create 문을 사용하여 생성하며, 그 문법은 다음과 같다.
이 때 데이터의 default값을 지정하거나, null 값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tbl1이라는 테이블을 하나 만들어 보겠다. 이 때 해당 테이블의 칼럼은 col1, col2이며 각 각 문자열 데이터를 받는다.
이렇게 생성한 테이블을 살펴보자.
댓글
댓글 쓰기